
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.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검진을 받으면서도 항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른 채 지나가곤 합니다. 단순히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, 각 항목이 어떤 질환과 연관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건강검진 항목과 그 의미를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.
1. 기본 신체 계측
- 신장, 체중, BMI: 비만 여부와 대사질환 위험을 평가합니다.
- 혈압 측정: 고혈압은 초기 증상이 없어 정기적인 체크가 필수입니다.
2. 혈액 검사
- 혈당 검사: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(HbA1c)를 통해 당뇨병 여부를 확인합니다.
- 지질 검사: 총콜레스테롤, LDL, HDL, 중성지방 수치를 통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평가합니다.
- 간 기능 검사: AST, ALT, γ-GTP 수치로 간염, 지방간, 간 손상 여부를 확인합니다.
- 신장 기능 검사: 크레아티닌, 요산, eGFR 등을 통해 신장 질환 가능성을 살펴봅니다.
3. 소변 검사
단백뇨, 혈뇨, 당뇨 여부를 확인해 신장질환이나 당뇨병의 징후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.
4. 흉부 X-ray
폐렴, 폐결핵, 폐암 등 호흡기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5. 심전도 검사
부정맥, 협심증,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을 조기 발견할 수 있습니다.
6. 위·대장 내시경
- 위 내시경: 위염, 위궤양, 위암 조기 발견
- 대장 내시경: 대장 용종, 대장암 조기 발견
40세 이상이라면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가 권장됩니다.
7. 초음파 검사
- 복부 초음파: 간, 담낭, 신장, 췌장 이상 확인
- 갑상선 초음파: 결절이나 종양 여부 확인
8. 특수 검사
- 골밀도 검사: 골다공증 여부 확인
- 안과 검사: 시력, 안압, 망막 검사를 통해 녹내장, 황반변성 조기 발견
- 여성: 유방 촬영, 자궁경부 세포검사
- 남성: 전립선 특이항원(PSA) 검사
9. 건강검진 준비법
- 전날 밤 9시 이후 금식
- 과음, 과로 피하기
- 평소 복용 약이 있다면 의사에게 사전 알리기
건강검진은 단순히 ‘한 번 하고 끝’이 아닙니다.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 습관을 바꾸고, 필요 시 정밀 검사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. 항목별 의미를 알고 검진을 받는다면, 단순한 수치 확인을 넘어 자신의 건강 상태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.
'운동+식습관=건강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걷기 vs 달리기, 내 몸에 맞는 운동은 무엇일까? (0) | 2025.09.06 |
|---|---|
| 집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홈트레이닝 기초 운동 (0) | 2025.09.05 |
| 아침 스트레칭, 하루를 깨우는 최고의 시작 (1) | 2025.09.05 |
| 비타민과 영양제, 똑똑하게 선택하는 법 (0) | 2025.09.05 |
| 규칙적인 식사 시간이 건강을 지키는 비밀 (0) | 2025.09.05 |
| 수면 부족이 부르는 몸과 마음의 변화 (0) | 2025.09.05 |
| 제2의 뇌, 장을 건강하게 지키는 생활 습관 (0) | 2025.09.05 |
| 면역력 높이는 음식 10가지, 식탁 위의 천연 보약 (0) | 2025.09.05 |